/* 모든링크가 현재창에서 열리도록하는 세팅-시작 */ /* 모든링크가 현재창에서 열리도록하는 세팅-끝 */
본문 바로가기
광고란?

광고의 종류: 상업 광고

by coxdesign 2023. 4. 18.
반응형

기업광고의 예

이 글에서는 광고를 크게 상업 광고와 비상업 광고로 나눌 수 있는데 이중 상업광고에는 어떤 광고가 있는지, 상업 광고에 대한 종류와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광고의 종류

광고의 종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상업 광고와 비상업 광고가 그것이다. 상업 광고는 말 그대로 상업적인 성격을 띤 광고이며, 비상업적 광고는 상업성을 배제한 광고를 일컫는다. 그 외에도 기본 수요 창출 광고와 선택 수요 창출 광고로 나눌 수 있다. 기본 수요 창출 광고는 특정 회사가 아니라 협회 같은 큰 조직에서 하는 광고를 말한다. 예를 들면 한국유가공협회에서 우유를 많이 마시는 어린이가 튼튼하게 자랄 수 있다는 광고를 한다면 어느 우유든 우유 소비를 조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광고가 기본 수요 창출 광고이다. 그에 반해 선택 수요 창출 광고는 특정 브랜드를 구입하도록 조장하는 제품 광고를 말한다. 

 

상업 광고

기업이 영리를 목적으로 이윤을 추구하기 위해 제작한 광고이다. 이 광고는 소비자의 즉각적인 반응을 유발하기 위해 제작되기도 하며, 장기적인 안목에서 작성되기도 한다. 

상품 광고

이 광고는 특정 상품의 특성이나 혜택을 소구 하는 광고인데, 상품 자체를 통해서 광고 수용자를 자극하며, 전국에 거주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다. 현재 우리가 접하고 있는 대부분의 광고는 이 광고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상품 광고는 즉각적인 판매 촉진을 목표로 하지만, 소구방법에 따르면 대다수의 상품 광고는 즉각적인 판매 촉진을 목표로 하지만, 소구방법에 따르면 대다수의 상품 광고는 직접적인 반응을 기대하기보다는 광고하는 상품에 주의를 기울이게 만들고, 관심과 욕구를 불러일으키며, 상품을 신뢰하거나 기억하게 함으로써 마침내 구매를 유도하는 간접 반응 유발 광고가 태반이다. 

상품 광고의 효과는 판매목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 광고의 전제조건은 광고된 제품의 품질 자체의 우수성과 높은 매력 성이며, 결국 그 제품은 상품성이 높아야 한다. 상품 광고 중에는 소비자의 즉각적인 반응을 유발하기 위하여 쿠폰을 삽입한 쿠폰 광고도 있다. 

소매 광고

소매점들이 자기 상업권 범위 내를 커버하는 광고를 말한다. 이미 잘 알려진 상품을 자기 상점에서 구매하도록 소비자를 유인하기 위해서 제작된 광고이며, 주로 신문지에 삽입되는 전단지가 그 매체로서 주목받는다. 이 소매 광고가 주로 지방 도시와 같은 한 도시 전체를 커버하게 될 때는 블록 광고라고 부르기도 한다. 

기업광고

상품이나 용역을 제공하고 있는 기업이나 조직 또는 기관에 대한 좋은 이미지를 조성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제작된 광고가 기업광고이다. 

기업광고란 상품 광고와 대조되는 광고 형태로서 기업 또는 기관에 대한 소비자의 호의적 태도를 형성하려는 광고인데, 이 광고의 목적은 이러한 태도에 입각한 기업에 대한 인지도나 선호도를 높이도록 하려는 데 있다. 그러므로 기업 광고는 광고주인 어떤 기업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를 잠재고객, 현재고객, 공중 전체 또는 특정 집단에게 갖도록 하려는 목적에서 집행하는 광고이다. 따라서 이 광고는 직접적인 반응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안목에서 기업의 명성과 이미지를 높임으로써 소비자와의 관계를 다른 경쟁 회사보다 더욱 밀접하게 하려는 것이다. 

기업 광고의 주 대상은 역시 상품 광고와 마찬가지로 상품 구매자인 소비자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기업 광고는 상품 광고를 보완하는 수단이 되지만, 순수한 PR만을 목적으로 제작되는 기업 광고도 있다. 이럴 경우의 기업 광고는 공익을 바탕으로 한 내용을 담고, 기업의 사회적 공헌이나 사회적 유용성을 알림으로써 기업의 이미지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거래 광고 

전국 광고주가 자사 제품을 소매업자, 도매업자 혹은 유통업자에게 소개하기 위해 제작된 광고가 거래 광고이다. 간접 마케팅의 경우 생산자는 적절한 경로 기관인 중간상을 통해 판매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이 거래점들을 대상으로 자사의 상품을 취급, 판매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인상을 주기 이해 마련된 광고가 거래 광고이다. 

거래 광고의 목적은 거래점이 자사 제품을 구매하여 재고하게 하려는 데 있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항상 그 제품에 대하여 최선의 판매 노력을 기울이게 하려는 데 있으므로 거래점의 지원이 뒤따르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거래점의 구매 시점 광고에 유의하여 광고를 지원해 줄 필요가 있다. 

 

 

 

 

 

 

 

 

반응형